반응형

자바스크립트 5

8. JavaScript Math Expressions(사칙연산, 증감연산자)

1. Math Expressions JavaScript를 사용해서 수학계산이 가능합니다.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사칙연산 첫번째로 사칙연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 나머지 : % 위 기호들을 사용하여 계산이 가능합니다. 예제를 한번 볼까요 ? // 변수를 이용한 출력 let sum = 2 + 2 console.log(sum) // console.log 안에 직접 값을 넣어 출력 console.log(2 + 2) // 함수를 사용한 출력 ES5 function fsum(num) { return num + num } console.log(fsum(2)); // 함수를 사용한 출력 ES6 const f..

Javascript 2021.01.18

7. JavaScript Function(함수, Arrow Function)2

1. JavaScript Function(함수)2 앞서 6강에서 배운 Function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Function(함수) - 여러 인자 이번에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전달받는 함수에 대해 알아봅시다. 함수에 인수가 한 개가 아닌 여러 개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function alertSuccess(month, name) { alert(month + "월의 당첨자는 " + name + "입니다."); } alertSuccess("3", "김개발"); 2. 함수 내부에서 다른 함수 호출하기 function getTax(price) { return price * 0.1; } function calculateTotal(price) { return price + getTax(pri..

Javascript 2021.01.17

6. JavaScript Function(함수)

1. Function(함수) Functio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함수란? 하나의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독립적인 블록입니다. 변수에 이름이 있듯이, 함수도 이름이 있습니다. 함수 이름을 부르면, 함수 내에 있는 코드가 실행됩니다. 함수를 불러 실행시키는 것을 앞으로 "함수를 호출한다" 라고 표현하겠습니다. 아래 코드를 봐주세요. function checkCorrect() { let hi = "안녕하세요"; return hi; } 함수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름은 checkCorrect네요. 위와 같이 함수를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이름을 불러 호출할 수 있습니다. checkCorrect(); 함수를 호출해주니 함수 내에 있는 코드가 실행되었습니다.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fu..

Javascript 2021.01.17

5. JavaScript Constant(상수)와 Variables(변수)

1. 이번엔 상수와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수는 변하지않는 값을 말하고, 변수는 수식에 따라서 변하는 값을 말합니다. JavaScript에서는 상수는 const, 변수는 var 또는 let으로 선언합니다. 위와 같이 선언을 해주시면 됩니다. 처음엔 다 같아보이죠 ? 1 - 1. 상수 제가 위에서 상수는 값이 변하지 않는다고 말씀드렸었는데 확인해봅시다. 자 위 사진을 보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위 에러가 뜨는 이유는 const는 값이 변할 수 없는데 그 값을 재할당('빈코더' -> 'Hello world!')을 하려고 하니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점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1 - 2. 변수 변수도 한..

Javascript 2021.01.17

4. 주석이란?

1. 주석이란? 주석(Commenting)이란 '코드를 작성하긴 했지만 브라우저에서 해당 코드를 실행시키지 말고 무시하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위 사진처럼 주석을 하니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주석을 하는방법은 간단합니다. // 한줄만 주석 /* 안에 있는 내용 모두 주석 */ 그럼 주석을 쓰는 이유를 알아볼까요 ? 특정 코드가 필요 없어졌는데, 혹시 몰라서 남겨놓고 싶을 때 다음 사람에게 인수인계 해야해서 코드에 설명해 놓을 때 코드를 볼 때마다 이해가 잘 안 돼서 한글로 설명해 놓을 때 등등.. 위 와 같은 이유로 주석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RusJS나 VScode는 단축키로 주석을 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에디터는 몰라요 .. ) 범위를 지정을 해주고 윈도우 기준으로 ctrl..

Javascript 2021.01.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