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식

Semantic Web과 Semantic Tags

빈코더 2021. 1. 12. 01:20
728x90

Semantic Web과 Semantic Tags에 대해서 알아보자

1. Semantic Web

Semantic Web이란? (위키 참조)

- '의미론적인 웹' 이란 뜻으로 현재의 인터넷과 같은 분산환경에서 리소스(웹 문서, 각종 화일,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와 자원 사이의

관계-의미 정보를 기계(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자동화된 기계(컴퓨터)가 처리 하도록 하는 프레임 워크이자 기술이다. 

 

위키를 참조해서 Semantic웹의 사전적 의미를 확인해 보았지만 아직 이해가 안됩니다..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 온톨로지 형태
  • 프레임 워크

온톨로지 형태와 프레임 워크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봅시다.

 

온톨로지란 ? (위키 참조)

- 온톨로지(Ontology)란 사람들이 세상에 대하여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서로 간의 토론을 통하여 합의를 이룬 바를, 개념적이고 컴퓨터에서 다룰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모델, 개념의 타입이나 사용상의 제약조건들을 명시적으로 정의한 기술, 온톨로지는 일종의 지식표현으로, 컴퓨터는 온톨로지 표현된 개념을 이해하고 지식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프로그램과 인간이 지식을 공유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온톨로지는, 정보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자원의 개념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술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찾을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지식개념을 의미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도구이다.

 

점점더 복잡해집니다... 하

 

다른 사전이나 블로그를 확인해보니 대충 

 

Semantic Web은 시맨틱 웹은 컴퓨터가 정보 자원의 뜻을 이해하고 논리적 추론까지 하는 차세대 지능형 웹.

 

이라고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조금만 더 설명을 하면

 

지금의 웹은 특정 검색어를 치면 불필요한 문서가 모두 나와 일일이 찾아 보아야 하는데 지능형 웹은 다르다고 합니다. 

 

단어의 유사성과 상관관계 등을 파악해서 원하는 결과물만 찾아 보여주고, 문서든 그림이든 목적에 맞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물론 가공하며, 응용까지 한다고 합니다.

 

2. Semantic Tag

Semantic Tag란 ? (블로그 참조)

시맨틱 태그에 의해 컴퓨터가 HTML 요소의 의미를 보다 명확히 해석하고 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시맨틱 웹이 실현될 수 있다.
시맨틱 웹이란 웹이 존재하는 수많은 웹페이지들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기존의 잡다한 데이터 집합이었던 웹페이지를 의미와 관련성을 가지는 거대한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자 하는 발상이다.

 

Semantic Tag의 종류는 orm, table, img, 등이 있으며, HTML5에서 추가된 시맨틱 태그는 아래와 같습니다.

  • header : 헤더를 의미
  • nav : 네비게이션을 의미
  • aside : 사이드에 위치하는 공간을 의미
  • section : 본문의 여러 내용 (article)을 포함하는 공간을 의미
  • article : 본문의 주 내용이 들어가는 공간을 의미
  • footer : 푸터를 의미

3. 결론 (개인적인 의견 입니다)

과거의 웹은 문서의 많은 정보를 담지 못하였지만 지금은 HTML파일을 작성할때 Semantic Tag를 사용하여

 

웹에 더 많은 정보를 담고 그것을 검색엔진이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해줌으로서 

 

우리의 정보 검색이 좀 더 효율적이고 지능적으로 변하게 된다. 

 

그것을 Semantic Web이라고 한다.

 

 

728x90